티스토리 뷰
1. 문제 설명
(1) 만들 수 없는 금액
- 편의점 점주는 N개의 동전을 가지고 있다.
- 이때 N개의 동전을 이용하여 만들 수 없는 양의 정수 금액 중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(2) 입력 조건
- 첫째 줄에는 동전의 개수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 N이 주어진다.(1 <= N <= 1,000)
- 둘째 줄에는 각 동전의 화폐단위를 나타내는 N개의 자연수가 주어지며, 각 자연수는 공백으로 구분한다.
- 이 때, 각 화폐 단위는 1,000,000 이하의 자연수이다.
(3) 출력 조건
- 첫째 줄에 주어진 동전들로 만들 수 없는 양의 정수 금액 중 최솟값을 출력한다.
2. 문제 분석
- 코드 구현자체는 어려워 보이는 것이 없지면 설계과정에서 직관적으로 이해하기가 어려웠다.
- 문제 예시에서 N = 5이고, 각각 동전이 3원, 2원, 1원, 1원, 9원짜리 동전이라고 가정한다.
- 단순하게 사람의 직관을 이용하여 이 동전들의 조합을 만들면 다음과 같다.
- 만들 수 있는 양의 정수 금액의 리스트 = [1, 2, 3, 4, 5, 6, 7, 9, 10, 11, ....]
- 여기서 우리는 동전의 조합으로 8을 만들 수 없음을 알 수 있다.
- 그럼 이제 어떻게 8이 만들어 지지 않는지 컴퓨팅적 사고로 밝혀내야 한다.(결국, 나는 밝혀내지 못 해서 문제풀이 해설을 참고했다....)
- 풀이 해설에서는 하나의 변수에 화폐를 작은 순으로 더해가면서 그 값이 다음 더해야 할 화폐의 값보다 작으면 만들 수 없다고 설명한다.
- 맨 처음 변수(이후, target)는 1로 초기화한다.(만들 수 없는 양의 정수를 찾아야 하니 그 최솟값인 1로 초기화한다.)
- 동전을 단위가 작은 순서부터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각각 target에 그 값을 더한다.
- 위의 예시인 coin = [1, 1, 2, 3, 9]를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.
- 먼저, target의 초기값의 1은 coin[0] = 1과 값이 같으니 만들 수 있는 정수가 된다.
- 따라서 target += coin[0]을 실행한다.(target = 2)
- 그리고 target과 coin[1]을 비교한다.
- target(=2) > coin[1](=1) 이므로 2 역시 만들 수 있는 정수가 되며 마찬가지로 target에 coin[1]의 값을 더한다.
- 그렇게 target에 coin[2]와 coin[3]의 값을 더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target의 값은 8이 된다.
- 그런데 target(=8) < coin[4](=9)이므로 target의 값인 8은 만들 수 없는 정수가 된다.
- 따라서 반복을 멈추고 target의 값인 8을 출력하면 정답이 된다.
- 해설을 보니 어렴풋이 왜 8을 만들 수 없는지 이해는 되는데 직관적이고 뚜렷하게 이해하기는 어려웠다.
- 내가 이해한 바로는 다음과 같다.
- taget의 값이 다음 값과 같거다 더 큰 경우 taget은 그 이전의 동전의 조합들로 만들 수 있는 값이다.
- 왜냐하면, target에는 동전의 작은 값들부터 합이 누적되었기 때문이다.
- 예시된 상황에서 target의 값은 [1, 2, 3, 5, 8, ...]이 된다.
- target[i]의 값보다 작거나 같은 숫자들은 coin[0]부터 coin[i]까지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다.
- 그리고 target이 다음 값과 값이 같으면(target[i+1] == coin[i+1]) target은 다음 동전 하나(coin[i+1])만으로 만들 수 있는 값이다.
- 이제 문제는 다음 동전의 값이 누적된 target보다 다음에 더해야할 동전의 값이 더 클 때 발생한다.
- target = 8인 상황에서 우리는 이전에 나온 모든 동전을 소모하였는데, 위의 설명에 따라 다음 동전에 따라 동전의 조합으로 1~8원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.
- 그러나 아직까지 해당 조합으로 만들 수 있는 최대 값은 7이 된다.
- 그래서 나머지 동전의 조합으로 8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 동전이 6~8원의 가치를 가지고 있을 때 가능하다.
- 하지만 예시에서 다음 더해야 할 동전의 값어치는 9원으로 8은 만들 수 없게 된다.
- 따라서, 8은 예시의 동전 조합을 만들 수 없는 최솟값이 된다.
- 다른 예시를 살펴보자. N = 3이고 coin = [3, 5, 7]일 때 처음부터 target(=1) < coin[0](=3)인 상황이 발생하여 이 동전의 조합으로는 1을 절대 만들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.
3. 코드 구현 - 문제 풀이 해설 방법
# 동전 갯수 입력
n = int(input())
# 화폐 단위 입력
coin_list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# 화폐를 크기가 작은 순부터 오름차순 정렬
coin_list.sort()
### 정답 해설 방법 ###
target = 1 # 해당 변수에 화폐를 작은 순 부터 더해 해당 값이 다음 화폐보다 작으면 만들 수 없는 값이 된다.
for x in coin_list:
# 만들 수 없는 금액을 찾았을 때 반복 종료
if target < x:
break
target += x
# 만들 수 없는 금액 출력
print(target)
- 문제 분석만 성공했다면 코드 구현자체는 정말 쉽다.
- 알고보면 쉬운데 왜 이런 생각을 하지 못 했을까하는 아쉬움이 남는다.
4. 후기
내가 평소에 직관적으로 생각하는 버릇이 있는데 이 문제에서 굉장히 큰 난항을 겪었다. 내가 분석한 방법으로 설명을 적어 놓았지만 사실 명쾌하게 만족스럽지는 않다. 이럴 때 쓰는 방법은 그냥 그대로 외우는 방법이 있긴 한데, 이런 문제가 과연 코딩 테스트 문제에서 나올까 의문스럽기도 하다. 그래도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이 자료를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그 의미가 그나마 생기리라 기대한다.
github : Algorithms/q4_0.py at main · LeeSeok-Jun/Algorithms (github.com)
LeeSeok-Jun/Algorithms
Practice algorithms 2020. Contribute to LeeSeok-Jun/Algorithm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'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> 11장_그리디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문제 06 : 무지의 먹방 라이브(난이도 : 1/3) (0) | 2021.06.29 |
---|---|
문제 05 : 볼링공 고르기(난이도 : 1/3) (0) | 2021.05.18 |
문제 03 : 문자열 뒤집기(난이도 : 1/3) (0) | 2021.05.17 |
문제 02 : 곱하기 혹은 더하기(난이도 : 1/3) (0) | 2021.05.17 |
문제 01 : 모험가 길드(난이도 : 1/3) (0) | 2021.05.17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그리디
- 구현
- python
- 프로그래밍 대회에서 배우는 알고리즘 문제해결전략
- 프로그래밍 대회에서 배우는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
- 카카오
- 탐욕법
- 마르코프 연쇄
- 파이썬
- 종만북
- 프로그래머스
- 프로그래밍 대회에서 배우는 알고리즘 문제해결 전략
- 동적 계획법
- 난이도:상
- k번째 답 계산하기
- 난이도:하
- 비트 마스크
- 난이도:중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